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짜르트
모짜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년 1월 27일 ~ 1791년 12월 5일)는 오스트리아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이다.
유년기
모짜르트는 오스트리아 짤츠부르크에서 궁정 음악가인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와 어머니 안나 마리아 모차르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당시 유일하게 살아남은 형제로는 누나인 나넬 모짜르트가 있었다. 모차르트는 태어난 다음 날 로마 가톨릭교회인 성 루퍼트 대성당에서 '요하네스 크리소스토무스 볼프강구스 테오필루스 모짜르트(Johannes Chrysostomus Wolfgangus Theophilus Mozart)'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모짜르트는 어렸을 때부터 재능을 보이기 시작했다. 아버지 레오폴트는 당시 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음악 교육자 중 한 사람으로, 짤츠부르크 대주교의 궁정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이었다. 세 살 때부터 모짜르트는 누나를 따라 건반을 다루고 연주하는 법을 익혔다. 아버지는 아들의 음악적 재능이 빛을 발하면서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가르쳤다. 피아노와 바이올린에 매우 뛰어났다.
어린 모짜르트는 네 살 때 여러 곡을 배웠다고 한다. 모차르트의 음악적 능력은 빠르게 발달하여, 다섯살 때 이미 작곡을 하기 시작했다. 아버지가 모차르트의 곡을 써주었다고 의심한 사람들은 집으로 찾아와 모짜르트를 시험해 보았다. 하지만 모차르트는 그 사람들에게 뛰어난 작곡 실력과 재능을 보였고 사람들은 그제서야 모차르트를 믿기 시작하였다.
여행
레오폴트는 어린 아들을 데리고 연주를 다녔다. 모짜르트는 눈을 가리거나 손을 뒤로 해서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었으며, 그가 본 적이 없었던 어려운 악절을 갖고 즉흥 연주를 할 수 있었다. 모짜르트는 1762년에 뮌헨을 시작으로 3년 반 동안 아버지를 따라 비엔나, 만하임, 파리, 런던, 헤이그, 취리히, 잘츠부르크, 도나우에슁겐(Donaueschingen) 등으로 연주 여행을 다녔다.
모짜르트 일행은 1767년 말에 비엔나로 가서 1768년 12월까지 그곳에서 지냈다. 짤츠부르크에서 1년 동안 지낸 다음 세 차례 이탈리아로갔다.(1769년 12월-1771년 3월, 1771년 8월-12월, 1772년 10-1773년 3월) 당시 이탈리아에서 그리고리오 알레그리의 《미제레레》를 한 번 듣고 기억만으로 곡을 전부 써내려갔다. 당시 그 악보조차도 비공개였는데 단지 듣는 것 만으로 모두 음색을 기억해 악보를 그려낸 것이다.
그는 또한 요제프 하이든을 만나 그의 교향곡, 협주곡, 피아노곡 등 기악곡을 배웠으며, 만하임에서 만하임 악파의 악기법을 익혔다. 1777년에는 뮌헨, 만하임, 파리로 갔는데 파리에서 어머니를 여의었다. 여행에서 만난 많은 음악가 중에서 1764-5년에 런던에서 만난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영향이 컸다. 그로부터 교향곡 작곡법을 배웠으며 이는 모차르트가 수많은 교향곡을 남기는 계기가 되었다.
베토벤과의 만남
모짜르트는 비엔나에서 생활하던 1784년 베토벤과도 만났다. 자신을 찾아온 베토벤을 반갑게 맞이했다. 이 때 베토벤의 나이는 불과 14세였다. 모짜르트는 베토벤이 자신이 만든 즉흥곡을 또다른 작품으로 휼륭히 소화해내자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 교육비를 일절 거절하고 베토벤의 교육에 전념했다. 그러나 베토벤은 어머니가 사망하였다는 소식에 작별인사 후 비엔나를 떠났다.
만난 지 불과 1달만의 일로 이것이 두 거장의 마지막 만남이었다. 베토벤이 다시 비엔나로 왔을 때는 1792년으로 그때는 모차르트가 죽은지 1년이 지난 뒤다. 그러나 이 이야기의 전거는 오토 얀이 쓴 모차르트의 전기가 유일하여, 오늘날 그 신뢰성이 부인되고 있다. 다만 베토벤이 제자인 리스에게 모차르트의 피아노 연주에 대하여 논평한 것이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서로 만난 것은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죽음
모짜르트의 죽음과 그 원인에 대해서는 수많은 전설을 비롯하여 학설이 많다. 낭만적인 주장으로는 모짜르트의 건강이 점점 약해지면서 그의 모습과 작품 역시 다가오는 죽음과 함께 쇠퇴하였다는 것이 있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모차르트의 마지막 해가 그에게 성공적이었으며, 그의 죽음이 가족들에게 충격이었다는 점을 들어 그의 죽음이 급작스러웠다고 주장한다.
그의 죽음의 원인 또한 추측이 무성하다. 기록에는 그가 "무수히 난 좁쌀만한 발열"("hitziges Frieselfieber")로 죽었다고 되어 있는데, 현대 의학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에 비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되지 못하고 있다. 사인에 대한 학설 중에는 선모충병, 중독, 류머티스열, 덜 익힌 돼지고기에 의한 식중독 등이 있다. 환자의 피를 뽑았던 당시의 의술도 모차르트의 죽음을 앞당기는 데에 기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짜르트는 1791년 12월 5일 오전 0시 55분경에 죽었다. 콘스탄체는 모짜르트가 완성하지 못한 작품 레퀴엠의 완성을 여러 제자들에게 맡겼으나 끝내 완성시키지 못하다가 결국 프란츠 크사버 쥐스마이어(Franz Xaver Süssmayr)가 완성시켰다.
모짜르트가 가난과 무관심 속에서 죽었다는 이야기와 달리, 그는 나름대로 만족할 만한 수입이 있었고 프라하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꾸준한 작곡 의뢰를 받았다. 그가 말년에 전성기 때만큼의 명성을 누리지는 못했으며 돈을 꿔 달라고 쓴 편지가 있지만, 이는 그가 가난해서가 아니라 번 돈보다 더 많이 썼기 때문이었다. 그 실례로 모차르트가 입은 옷은 보석으로 장식된 화려한 의상이었다.
모짜르트는 비엔나 외곽의 성 마르크스 묘지에 묻혔다. New Groove에 따르면 그가 여러 사람과 함께 묻힌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가난해서가 아니라 당시 빈 중산층의 장례 풍습대로였다. 그것은 잘 정비된 묘지였으며 나무로 된 것이었으나 묘비도 있었다. 묘비가 나무였던 것 또한 당시 빈 중산층의 장례 풍습에 따른 것이었다. 실제 당시 빈에서는 화려한 장례가 엄격히 금지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장례식 날 비가 오고 천둥이 쳤다고 하나 New Groove에 따르면 사실은 구름 한 점 없는 쾌청한 날이었다고 한다. 현재 모차르트의 무덤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것은 성 마르크스 묘지가 더 많은 묘지를 수용하기 위해 이장을 거듭하였기 때문이지 아무렇게나 묻었기 때문은 아니다.
콘스탄체 모차르트는 남편이 죽은 후 추모 음악회, 미발표 작품의 출판 등으로 경제적으로 성공하였다. 1809년 그녀는 덴마크 출신 외교관이었던 게오르크 니콜라우스 폰 니센(Georg Nikolaus von Nissen)과 재혼했다. 그들은 덴마크로 이주했다가 다시 잘츠부르크로 돌아와 여생을 마감했다. 콘스탄체와 새 남편은 모두 모차르트에 대한 전기를 남겼다.
음악
모차르트는 다작을 한 작곡가로 오페라 약 27곡, 교향곡 약 67곡, 행진곡 약 31곡, 관현악용 무곡 약 45곡, 피아노 협주곡 약 42곡, 바이올린 협주곡 약 12곡, 회유곡 약 40곡, 그 외 독주곡, 교회용 성악곡, 실내악곡 칸타타, 미사곡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600 여곡을 작곡하였다. 그의 많은 작품이 그 당시에 있던 형식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피아노 협주곡만큼은 모차르트 혼자서 발전시켜서 대중화했다. 모차르트는 미사곡을 포함한 종교 음악과 실내악곡, 그리고 디베르티멘토와 춤곡과 같은 가벼운 곡도 썼다.
주요 작품으로는 《주피터 교향곡》, 《피가로의 결혼》, 《돈 지오반니》, 《마술 피리》 등과 최후의 작품인 《진혼곡》이 있다. 고전 음악을 완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모차르트가 받은 영향
모차르트의 유년기는 궁정 바이올리니스트인 아버지 레오폴트의 교육으로 클라비어에 숙달하여 유럽 각지를 일찍부터 순회연주하였다. 당시 유럽의 각지에서는 여러 가지 새로운 양식적 시도가 있었으므로 모차르트의 여행은 그러한 새로운 예술적 동향에 직접 접할 기회를 부여받고 그의 창작능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이처럼 그가 일찍부터 부친의 천재교육과 유럽의 연주여행에서 직접 체험하고 또한 받은 중요한 영향을 살펴보면 대강 아래와 같다.
잘츠부르크 음악 - 어린 모차르트가 출생지에서 받은 영향은 그의 예술적 소질을 형성하였다. 잘츠부르크의 음악은 결코 깊이가 있다고는 할 수 없으나 우아함이 감도는 경쾌감이 특징으로서, 이 지방의 작곡가 에이베를린이나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 미하엘 하이든의 음악에 기조를 이룩하기도 했다.
파리의 음악 - 1763년에서 1764년, 파리에서 알게 된 요제프 슈베르트, 에카르트(Eccard), 르그랑(Legrand)의 영향을 받아 당시 파리를 휩쓸던 우아하고 경쾌한 클라브생 음악에서 감명을 받았다.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 1764-5년의 영국 체재 중, 대 바흐의 막내아들 크리스티안의 교향곡에서 배운 바가 많았다. 이시기 쳄발로 소나타로 곡을 편곡한 쳄발로 협주곡 3곡을 작곡하였다.
이탈리아 음악 - 1770년의 이탈리아 여행 중, 마르티니 신부로부터 직접 지도를 받아 엄격한 대위법 음악에 대한 흥미를 더하였다.
전(前)고전파의 작곡가들 - 1773년 여름의 빈 여행에서 하이든, 바겐자일, 몬 등의 견고한 구성미의 음악에 결정적인 자극을 받아 독일 음악을 재인식하였다.
갤런트 양식 - 미하엘 하이든의 우아한 작풍에 감명을 받고 모차르트의 선천적인 음악적 기질과도 어울려 우아한 표현이 개화하였다. 미하엘곡의 작품 중에는 쾨헬목록에 잘못 포함되어있는 곡도 있다.
요제프 하이든 - 모차르트가 1781년 빈에 정착한 뒤부터 직접적인 교류에 의하여 한층 그 유대가 강해졌으며 그는 1782-1785년에 걸쳐 작곡한 6곡의 현악 4중주곡 <하이든 4중주곡>을 하이든에게 바쳐 감사를 표하였다.
후세에 준 영향
그는 감정과 감각이 극도로 예민하여 당시의 각종 음악 양식을 부드러운 태도로 흡수, 여기에 개성의 심오한 특성을 반영하여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를 표현함으로써 후세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의 교향곡은 그 개성적인 창작이 베토벤에게 이어졌고, 가극은 베버에 의하여 계승되었다.
조아키노 로시니는 모차르트가 "천재성만큼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지식만큼 천재성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음악가"라고 말했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그의 제자 페르디난드 리스에게 자신이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4번 의 1악장의 주제만큼 대단한 선율을 생각해낼 수 없다고 말했다. 베토벤이 모차르트에게 보내는 경의로 쓴 작품이 있는데, 마술 피리의 주제에 의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두 개의 곡과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을 위해 쓴 카덴자 등이 그것이다. 모차르트는 베토벤을 만나고 나서 그를 칭찬한 적이 있었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모차르트를 위해 《모차르티아나》를 썼으며, 구스타프 말러는 모차르트의 이름을 부르다 죽었다. 막스 레거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인 《모차르트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1번 에 의한 것이다.
모차르트의 초상화에 담긴 진실
모차르트의 어렸을 때 초상화부터 죽기 전까지 훑어보면, 대부분 한 손을 옷 안에 숨기고 있는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는 나폴레옹이나 조지 워싱턴의 초상화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이는 '몸이 허약해 배가 아파서 그랬다', '시계에 밥을 주고 있었다'등의 다양한 설이 존재하지만, 현대로써 가장 일리 있는 의견은 모차르트의 가족 대대가 프리메이슨(원래 사회 목축업, 건설 복지 목적으로 설립되었다가 현재는 세계 정복을 꿈꾸게 된 유럽의 비밀리 단체)의 회원이었다는 설이다. 옷에 한쪽 손을 숨기는 포즈는 프리메이슨을 찬양한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 그의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가 프리메이슨의 회원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사의 CEO인 빌 게이츠도 프리메이슨의 회원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아직 초상화에 왜 이런 포즈가 나오는 지는 아무도 알고 있지 않으며, 그 미스터리는 모차르트에 대한 여러가지 미스터리 중 하나에 꼽힌다.
전설
모차르트는 전설을 많이 가지고 있는 작곡가이다. 예를 들어 모차르트가 남긴 레퀴엠이 스스로를 위한 것이라는 것인데, 많은 작가들이 이 이야기에 영감을 받아 글을 썼지만, 진실을 밝히기 위한 학자들의 연구에는 방해가 되는 것이다.
유명한 것은 모차르트가 안토니오 살리에리와 경쟁 관계에 있었으며 살리에리가 모차르트에게 독을 먹여 죽였다는 이야기인데, 이것은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연극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피터 섀퍼의 연극 《아마데우스》의 주제로 다뤄졌다. 《아마데우스》는 영화로 만들어져 여덟 개의 아카데미상을 받았다. 많은 사람들이 섀퍼의 연극에서 모차르트가 천박하고 촌스럽게 그려졌다 하여 이를 거짓 과장이라 비난하였다.
다른 전설은 모차르트의 음악적 천재성에 대한 것이다. 또한 영화《아마데우스》에서 그려진 것처럼 모차르트가 영감을 받아 머릿속에서 음악을 완성한 다음 한 번도 고치지 않고 써내려갔다는 것인데, 실제로는 한번에 거침없이 작곡하는 것이 아닌 신중하고 노력하는 작곡가였으며, 그의 음악적 지식과 기법은 오랜 시간 동안 이전 시대의 음악을 연구함으로써 나온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실제 그는 젊은 시절에 당대 내려오던 작품들을 분석하지 않은 게 거의 없었다 할 정도로 엄청난 노력을 했으며, 한 편에서는 '표절의 천재'라는 비아냥과 오명에 대해 평생을 싸워야 했다고 한다.
---------------------------------------------------------------------------------------------------------------------------
'편안한 자리 > * 여행(旅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유럽 언플러그드 - 오스트리아 빈/ 짤츠부르크/ 짤츠캄머굿 (0) | 2013.08.05 |
---|---|
베토벤의 삶과 그의 음악 (0) | 2013.07.18 |
스위스의 요들과 알펜호른 (0) | 2013.07.18 |
30년 전쟁 The Thirty Years' War (0) | 2013.07.18 |
합스부르크 왕가 The House of Habsburg - 신성로마제국 (0) | 201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