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 왕국
1 개요
2 역사
2.1 메로빙거 왕조
2.2 카롤링거 왕조
2.3 분열
1. 개요
게르만 족의 일파인 프랑크 족이 세운 나라. 현재의 독일과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이탈리아 북부를 영토로 가지고 있었다. 살리카법이라는 법전을 편찬했다.
2. 역사
2.1 메로빙거 왕조
- 프랑크 왕국의 부족장 클로비스가 세력을 쌓고, 기독교를 버리고 가톨릭을 받아들여 교황에게 세례와 왕관을 받음으로서 성립된다.
- 메로빙거 왕조는 살리카법으로 인한 분할 상속으로 서서히 권력을 잃어버렸으며, 궁재를 차지한 카롤링 가문이 점차 세력을 강화해 나가다가 메로빙거 왕조를 무너뜨리고 카롤링거 왕조가 성립되었다.
2.2 카롤링거 왕조
- 카롤링 가문의 영화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 대 피핀에서 시작되었다. 독일어로 카를 마르텔, 프랑스어로는 샤를 마르텔이라 불리는 궁재가 이슬람 군의 침략을 막아내면서 군사적 권위를 얻었고, 카를 마르텔의 아들 소 피핀이 메로빙거 왕조를 폐위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피핀은 롬바르디아 왕국을 격파하고 교황에게 토지를 기증하여 교황령의 시초를 만들었다.
- 그 아들이 바로 유명한 카롤루스 대제(샤를마뉴)이며, 교황에게 황제의 칭호를 받아 신성로마제국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샤를마뉴의 손자 루트비히 1세 때, 3명의 아들에게 나라를 분할해주면서 카롤링거 왕조는 세개로 쪼개지고 만다.
2.3 분열
- 베르됭 조약으로 왕국은 세개로 분할되었다.
• 중 프랑크 왕국 : 장남 로타르의 나라. 중심지인 로타링기아[#1]를 비롯한 중부의 땅과 이탈리아 영토, 황제의 칭호를 받았다.
- 명목상 동 서 프랑크 왕국을 지배하였다.
• 동 프랑크 왕국 : 셋째 아들 루트비히의 나라. 훗날의 독일의 기초가 된다.
• 서 프랑크 왕국 : 둘째 아들 샤를의 나라. 훗날의 프랑스의 기초가 된다.
- 로타르가 죽자 루트비히와 샤를은 다시 메르센 조약을 맺어 중 프랑크 왕국을 둘로 쪼개서 나눠가졌다.
- 사실상 중 프랑크 왕국은 공중분해되었고, 이후 동 프랑크 왕국, 서 프랑크 왕국 모두 카롤링거 왕조가 단절된다.
- 서 프랑크 왕국에서는 일드프랑스(파리)의 백작 위그 카페가, 동프랑크 왕국에서는 작센 자작 오토 1세가 왕위에 오른다.
: 이로써 독일과 프랑스가 완전히 분리된다.
[#1] 로타링기아 - 이곳이 바로 훗날의 알자스-로렌이 되는 '로렌'='로트링겐' 지방이다.
------------------------------------------------------------------------------------------------------------------------------
신성로마제국 (Holy Roman Empire - 神聖로마제국 )
로마제국, 동로마제국, 신성로마제국
각 제국은 시대와 지역적으로 별도의 제국이다.(물론 동로마제국은 로마제국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신성로마제국은 광범위의 독일제국으로, 로마제국 및 동로마제국과는 완전히 별개의 제국이다. 아래 지도(*)에서 검은 선 안쪽이 신성로마제국이다. 동쪽이 폴란드(Poland), 서쪽이 프랑스(France), 서북쪽 섬이 영국(England)이다.
(*)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현대의 지도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으로, 실제로는 시대에 따라 변동이 있었지만 동쪽의 폴란드, 헝가리의 상당한 영역과 서쪽의 프랑스 동쪽 일부(알사스 로렌 등)가 신성로마제국에 속했음.
신성로마제국은 '광범위의 독일 제국'(학문적으로 대독일이라 칭함. 이 경우 현재의 독일 영토는 소독일이라 칭함)으로, 원어(독일어)로 Heiliges Römisches Reich 라 하며, 이를 영어로는 Holy Roman Empire이라 하는데 우리는 神聖로마제국이라 칭한다.
...........................................................................................................................................................................................
(*) 로마제국과 동로마제국
(1) 로마제국 : BC 7세기 - AD 476년
- 기원전 7세기 이탈리아 도시 국가로 발흥, 로마 시(市)를 중심으로 이탈리아와 지중해 전체를 지배했던 고대 서양 최대의 제국.
- 왕정, 공화정, 제1, 제2차 삼두 정치(三頭政治),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Augustus)의 통일로 제정(帝政), 오현제(五賢帝) 시대(96~180)에 최대의 판도(版圖)를 이루었다.
- 로마제국(동로마와 분열된 후, 편의상 '서로마'라 칭함)은 476년 오도아케르(Odoacer)에 의해 멸망하였다.
(2) 동로마제국 : AD 395년 - AD 1453년
- 395년에 로마제국에서 분열된 '동로마 제국'은 이스탄불을 중심으로 세워졌고 1453년까지 계속되었다.
- 476년 오도아케르(Odoacer)에 의해 로마(서로마)가 망한 후에도 1,000년 가까이 동로마제국은 부침을 거듭하면서 유지되었다.
- 군사, 토목, 법제에서 독특한 발전을 이룩하였고, 그리스 문화, 그리스도교를 유럽에 보급, 계승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 신성로마제국 : AD 962년- AD 1806년
- 독일 작센왕조의 오토 1세(962년~973년)부터 로렌-합스부르크 왕조의 프란츠 2세(1,792년~1,806년)까지의 독일 제국의 정식 명칭.
- 로마제국이 멸망하면서 유럽은 프랑크 왕국이 발흥했다가 동, 중,서 프랑크로 분할되었다가 해체되는 과정을 거침.
- 신성로마제국은 중프랑크 지역 일부와 동프랑크 지역을 중심으로 성립(AD 962년)된, 독일을 중심으로 한 연방 제국임. (대독일 개념)
-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는 '7명의 선제후'가 투표로 선출했으며, 절대 권력을 갖는 것은 아니었음
- 초기에 독일 작센 왕조를 중심으로 선출되던 황제는 7 선제후의 투표로 여러 왕조에서 번갈아 선출되었음
- 1438년 알브레히트 2세부터 1740년 카를 6세까지 300년 넘게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황제가 선출되었음
: 그 이후에도, 1,806년 신성로마제국이 해체될 때까지 합스부르크 왕가를 계승한 '로렌-합스부르크' 왕가에서 황제가 선출되었음
...............................................................................................................................................................................................
로마제국이 멸망(AD 476년)한 후, 프랑크 왕국이 현재의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지역에 걸쳐 존재했다.
이 프랑크 왕국이 분열한 뒤, 동프랑크 왕국 지역에서 새로이 광범위한 통합국가가 존재하는데 이것이 <신성로마제국>이다.
대략 범위는 현재의 독일 + 체코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프랑스 동쪽 일부(알사스, 로렌 등) + 베네룩스 3국 정도 될 것이다.
보다 자세히 본다면,
독일 지역(동프랑크 지역)에서 프랑크 왕실의 맥이 끊기자 제후들이 모여 왕을 선출하였는데 이 때 작센의 오토가 뽑힌다. 그는 독일 전 지역의 맹주로 떠오른 뒤 이탈리아를 정벌한 뒤에 로마 교황으로부터 황제의 관을 받게 된다. 이 황제의 관은 엄밀히 말하면 '서로마제국의 황제의 관' 이다. 왜냐하면 로마제국은 동서로 분열된 뒤 동로마제국은 이스탄불을 중심으로 그리스 지역에서 명맥을 유지하였고, 당대에 동로마 황제는 별도로 존재하였으며, 로마 교황은 서로마제국의 잔재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독일 황제는 (서)로마 황제의 관을 대대로 쓰게 되는데 이 독일 제국을 '신성로마제국' 이라 부른다.
이후 유럽사에서 '황제와 교황의 대립' 등등 할 때의 황제는 이 신성로마제국 황제를 지칭하게 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황제는 명목상의 황제로 물러서고 독일 지역은 점점 분열된다. 이후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는 그 지역 내 최대 강국인 오스트리아가 차지하게 된다. 그 전에 스위스는 신성로마제국 황제를 등에 업고, 역시 황제의 제후국인 오스트리아에 대항하는데, 그에 관한 한 이야기가 바로 '빌헬름 텔' 이야기다.
이후 나폴레옹이 등장해서 독일 정벌을 하였을 때 명목상으로나마 존재하던 신성로마제국은 멸망하게 된다.
소독일주의 VS 대독일주의
이후 독일 지역은 나폴레옹의 민족주의에 자극받아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북부 독일만을 통일하자는 '소독일주의' 와 과거 신성로마제국의 전 영토를 확보하아 신성로마제국의 영광을 되찾자는 '대독일주의' 가 나타나게 된다.
(*) 비스마르크의 독일 통일 - 오스트리아라는 남부 지역을 배제한 것으로서 소독일주의에 입각한 것
이후 히틀러가 '제 3제국' 을 운운하는데, 제 1제국은 신성로마제국, 제 2제국은 통일 후 독일제국을 지칭한다.
이처럼 신성로마제국은 독일 민족주의가 팽창적으로 나타날 때 '과거의 영광' 차원에서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것이다.
신성로마제국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작센 왕조
오토 1세 Otto I the Great (962-973)
오토 2세 Otto II (973-983)
오토 3세 Otto III (983-1002)
하인리히 2세 Heinrich II the Saint (1002-1024)
잘리에르 왕조
콘라트 2세 Konrad II (1024-1039)
하인리히 3세 Heinrich III the Black (1039-1056)
하인리히 4세 Heinrich IV (1056-1106)
하인리히 5세 Heinrich V (1106-1125)
슈플린부르크 왕조
로타르 2세 Lothar II (1125-1137)
호엔슈타우펜 왕조
콘라트 3세 Konrad III (1137-1152)
프리드리히1세 바르바로사 Friedrich I Barbarossa (1152-1190)
하인리히 6세 Heinrich VI (1190-1197)
벨프 왕조
오토 4세 Otto IV (1197-1215)
호엔슈타우펜 왕조
프리드리히 2세 스투포르 문디 Friedrich II Stupor Mundi (1215-1250)
콘라트 4세 Konrad IV (1250-1254)
대공위 시대 (1254-1271)
합스부르크 왕조
루돌프 1세 Rudolf I (1271-1291)
나사우 왕조
아돌프 Adolf (1291-1298)
합스부르크 왕조
알브레히트 1세 Albrecht I (1298-1308)
룩셈부르크 왕조
하인리히 7세 Heinrich VII (1308-1314)
비텔스바흐 왕조
루트비히 4세 Ludwig IV (1314-1347)
룩셈부르크 왕조
카를 4세 Karl IV (1347-1378)
벤체슬라스 Wenceslaus (1378-1400)
비텔스바흐 왕조
루페르트 Rupert (1400-1410)
룩셈부르크 왕조
지기스문트 Sigismund (1410-1438)
합스부르크 왕조
알브레히트 2세 Albrecht II (1438-1439)
프리드리히 3세 Friedrich III (1440-1493)
막시밀리안 1세 Maximilian I (1493-1519)
카를 5세 Karl V (1519-1558)
페르디난트 1세 Ferdinand I (1558-1564)
막시밀리안 2세 Maximilian II (1564-1578)
루돌프 2세 Rudolf II (1578-1612)
마티아스 Matthias (1612-1619)
페르디난트 2세 Ferdinand II (1619-1637)
페르디난트 3세 Ferdinand III (1637-1657)
레오폴트 1세 Leopold I (1658-1705)
요제프 1세 Josef I (1705-1711)
카를 6세 Karl VI (1711-1740)
공백기 (1740-1743)
비텔스바흐 왕조
카를 7세 알브레히트 Karl VII Albrecht (1743-1745)
로렌-합스부르크 왕조
프란츠 1세 슈테판 Franz I Stefan (1745-1765)
요제프 2세 Josef II (1765-1790)
레오폴트 2세 Leopold II (1790-1792)
프란츠 2세 Franz II (1792-1806)
.............................................................................................................................................................................
[신성로마제국 당시의 로마 교황]
요한 12세 Joannes XII (955.12.16-964.5.14)
레오 8세 Leo VIII (963.12.4;12.6-965.3.1)
베네딕토 5세 Benedictus V (964.5.22-966.7.4)
요한 13세 Joannes XIII (965.10.1-972.9.6)
베네딕토 6세 Benedictus VI (973.1.19-974.617)
베네딕토 7세 Benedictus VII (974.10-983.7.10)
요한 14세 Joannes XIV (983.12-984.8.2018)
요한 15세 Joannes XV (985.8-996.3)
그레고리오 5세 Gregorius V (996.5.3-999.2.18)
실베스테르 2세 Sylvester II (999.4.2-1003.5.12)
요한 17세 Joannes XVII (1003.6-1003.12)
요한 18세 Joannes XVIII (1004.1-1009.7)
세르지오 4세 Sergius IV (1009.7.31-1012.5.12)
베네딕토 8세 Benedictus VIII (1012.5.18-1024.4.9)
요한 19세 Joannes XIX (1024.4;5-1032)
베네딕토 9세 Benedictus IX (1032-1044)
실베스테르 3세 Sylvester III (1045.1.20-1045.2.10)
베네딕토 9세 Benedictus IX (1045.4.10-1045.5.1)
그레고리오 6세 Gregorius VI (1045.5.5-1046.12.20)
클레멘스 2세 Clemens II (1046.12.24;12.25-1047.10.9)
베네딕토 9세 Benedictus IX (1047.11.8-1048.7.1720)
다마소 2세 Damasus II (1048.7.17-1048.8.9)
성 레오 9세 St. Leo IX (1049.2.12-1054.4.19)
빅토리오 2세 Victorius II (1055.4.16-1057.7.28)
스테파노 9세(10세) Stephanus IX[X] (1057.8.3-1058.3.29)
니콜라오 2세 Nicolaus II (1059.1.24-1061.7.27)
알렉산데르 2세 Alexander II (1061.10.1-1073.4.21)
성 그레고리오 7세 St. Gregorius VII (1073.4.22;6.30-1085.5.25)
복자 빅토리오 3세 B. Victorius III (1086.5.24-1087.9.6)
복자 우르바노 2세 B. Urbanus II (1088.3.12-1099.7.29)
파스칼 2세 Paschalis II (1099.8.13;8.14-1118.1.21)
젤라시오 2세 Gelasius II (1118.1.24;3.10-1119.1.28)
갈리스토 2세 Callistus II (1119.2.2;2.9-1124.12.13)
호노리오 2세 Honorius II (1124.12.15;12.21-1130.2.13)
인노첸시오 2세 Innocentius II (1130.2.14;2.23-1143.9.24)
첼레스티노 2세 Celestinus II (1143.9.26;10.3-1144.3.8)
루치오 2세 Lucius II (1144.3.12-1145.2.15)
복자 에우제니오 3세 B. Eugenius III (1145.2.15;2.18-1153.7.8)
아나스타시오 4세 Anastasius IV (1153.7.12-1154.12.3)
하드리아노 4세 Hadrianus IV (1154.12.4;12.5-1159.9.1)
알렉산데르 3세 Alexander III (1159.9.7;9.20-1181.8.30)
루치오 3세 Lucius III (1181.9.1;9.6-1185.9.25)
우르바노 3세 Urbanus III (1185.11.25;12.1-1187.10.20)
그레고리오 8세 Gregorius VIII (1187.10.21;10.25-1187.12.17)
클레멘스 3세 ClemensIII (1187.12.19;12.20-1191.3)
첼레스티노 3세 Celestinus III (1191.3.30;4.14-1198.1.8)
인노첸시오 3세 Innocentius III (1198.1.8;2.22-1216.7.16)
호노리오 3세 Honorius III (1216.7.18;7.24-1227.3.18)
그레고리오 9세 Gregorius IX (1227.3.19;3.21-1241.8.22)
첼레스티노 4세 Celestinus IV (1241.10.25;10.28-1241.11.10)
인노첸시오 4세 Innocentius IV (1243.6.25;6.28-1254.12.7)
알렉산데르 4세 Alexander IV (1254.12.12;12.20-1261.5.25)
우르바노 4세 Urbanus IV (1261.8.29;9.4-1264.10.2)
클레멘스 4세 Clemens IV (1265.2.5;2.15-1268.11.29)
복자 그레고리오 10세 B. Gregorius X (1271.9.1;1272.3.27-1276.1.10)
복자 인노첸시오 5세 B. Innocentius V (1276.1.21;2.22-1276.6.22)
하드리아노 5세 Hadrianus V (1276.7.11-1276.8.18)
요한 21세 Joannes XXI (1276.9.8;9.20-1277.5.20)
니콜라오 3세 Nicolaus III (1277.11.25;12.26-1280.8.22)
마르티노 4세 Martinus IV (1281.2.22;3.23-1285.3.28)
호노리오 4세 Honorius IV (1285.4.2;5.20-1287.4.3)
니콜라오 4세 Nicolaus IV (1288.2.22-1292.4.4)
성 첼레스티노 5세 St. Celestinus V (1294.7.5;8.29-1294.12.13)
보니파시오 8세 Bonifatius VIII (1294.12.24;1295.1.23-1303.10.11)
복자 베네딕토 11세 B. Benedictus XI (1303.10.22;10.27-1304.7.7)
클레멘스 5세 Clemens V (1305.6.5;11.14-1314.4.20)
요한 22세 Joannes XXII (1316.8.7;9.5-1334.12.4)
베네딕토 12세 Benedictus XII (1334.12.20;1335.1.8-1342.4.25)
클레멘스 6세 Clemens VI (1342.5.7;5.19-1352.12.6)
인노첸시오 6세 Innocentius VI (1352.12.18;12.30-1362.9.12)
복자 우르바노 5세 B. Urbanus V (1362.9.28;11.6-1370.12.19)
그레고리오 11세 Gregorius XI (1370.12.30;1371.1.5-1378.3.26)
우르바노 6세 Urbanus VI (1378.4.8;4.18-1389.10.15)
보니파시오 9세 Bonifatius IX (1389.11.2;11.9-1404.10.1)
인노첸시오 7세 Innocentius VII (1404.10.17;11.11-1406.11.6)
그레고리오 12세 Gregorius XII (1406.11.30;12.19-1415.7.423)
마르티노 5세 Martinus V (1417.11.11;11.21-1431.2.20)
에우제니오 4세 Eugenius IV (1431.3.3;3.11-1447.2.23)
니콜라오 5세 Nicolaus V (1447.3.6;3.19-1455.3.24)
갈리스토 3세 Callistus III (1455.4.8;4.20-1458.8.6)
비오 2세 Pius II (1458.8.19;9.3-1464.8.14)
바오로 2세 Paulus II (1464.8.30;9.16-1471.7.26)
식스토 4세 Sixtus IV (1471.8.9;8.25-1484.8.12)
인노첸시오 8세 Innocentius VIII (1484.8.29;9.12-1492.7.25)
알렉산데르 6세 Alexander VI (1492.8.11;8.26-1503.8.18)
비오 3세 Pius III (1503.9.22;10.1;10.8-1503.10.18)
율리오 2세 Julius II (1503.10.31;11.26-1513.2.21)
레오 10세 Leo X (1513.3.9;3.19-1521.12.1)
하드리아노 6세 Hadrianus VI (1522.1.9;8.31-1523.9.14)
클레멘스 7세 Clemens VII (1523.11.19;11.26-1534.9.25)
바오로 3세 Paulus III (1534.10.13;11.3-1549.11.10)
율리오 3세 Julius III (1550.2.7;2.22-1555.3.23)
마르첼로 2세 Marcellus II (1555.4.9;4.10-1555.5.1)
바오로 4세 Paulus IV (1555.5.23;5.26-1559.8.18)
비오 4세 Pius IV (1559.12.25;1560.1.6-1565.12.9)
성 비오 5세 St. Pius V (1566.1.7;1.17-1572.5.1)
그레고리오 13세 Gregorius XIII (1572.5.13;5.25-1585.4.10)
식스토 5세 Sixtus V (1585.4.24;5.1-1590.8.27)
우르바노 7세 Urbanus VII (1590.9.15-1590.9.27)
그레고리오 14세 Gregorius XIV (1590.12.5;12.8-1591.10.16)
인노첸시오 9세 Innocentius IX (1591.10.29;11.3-1591.12.30)
클레멘스 8세 Clemens VIII (1592.1.30;2.9-1605.3.3)
레오 11세 Leo XI (1605.4.1;4.10-1605.4.27)
바오로 5세 Paulus V (1605.5.16;5.29-1621.1.28)
그레고리오 15세 Gregorius XV (1621.2.9;2.14-1623.7.8)
우르바노 8세 Urbanus VIII (1623.8.6;9.29-1644.7.29)
인노첸시오 10세 Innocentius X (1644.9.15;10.4-1655.1.7)
알렉산데르 7세 Alexander VII (1655.4.7;4.18-1667.5.22)
클레멘스 9세 Clemens IX (1667.6.20;6.26-1669.12.9)
클레멘스 10세 Clemens X (1670.4.29;5.11-1676.7.22)
복자 인노첸시오 11세 B. Innocentius XI (1676.9.21;10.4-1689.8.12)
알렉산데르 8세 Alexander VIII (1689.10.6;10.16-1691.2.1)
인노첸시오 12세 Innocentius XII (1691.7.12;7.15-1700.9.27)
클레멘스 11세 Clemens XI (1700.11.23;11.30;12.8-1721.3.19)
인노첸시오 13세 Innocentius XIII (1721.5.8;5.18-1724.3.7)
베네딕토 13세 Benedictus XIII (1724.5.29;6.4-1730.2.21)
클레멘스 12세 Clemens XII (1730.7.12;7.16-1740.2.6)
베네딕토 14세 Benedictus XIV (1740.8.17;8.22-1758.5.3)
클레멘스 13세 Clemens XIII (1758.7.6;7.16-1769.2.2)
클레멘스 14세 Clemens XIV (1769.5.19;5.28;6.4-1774.9.22)
비오 6세 Pius VI (1775.2.15;2.22-1799.8.29)
비오 7세 Pius VII (1800.3.14;3.21-1823.8.20)
------------------------------------------------------------------------------------------------------------------------------
'편안한 자리 > * 여행(旅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년 전쟁 The Thirty Years' War (0) | 2013.07.18 |
---|---|
합스부르크 왕가 The House of Habsburg - 신성로마제국 (0) | 2013.07.16 |
지도로 보는 오스트리아 역사 (0) | 2013.07.16 |
조선왕릉의 위치와 배치형태 (0) | 2013.07.05 |
왕을 만나다 - 세계문화유산 조선 왕릉 (0) | 201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