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따라 길따라/* 智異十景

[화엄사-대원사 종주] 운무(雲霧) 속에서 길을 묻다(3)

月波 2008. 8. 17. 16:16

 

[화엄사-대원사 종주] 운무(雲霧) 속에서 길을 묻다(3)

 

 

산행 일시 : 2008 8 15() ~ 8 16(), 벽소령 1

산행 시간 : 바람처럼 구름처럼, 해시계 물시계도 버리고

산행 코스 : (1일차) 화엄사-노고단-반야봉-삼도봉-화개재-연하천-벽소령(1박)

                (2일차) 벽소령-세석-장터목-천왕봉-중봉-치밭목-유평-대원사

산행 거리 : 46.2 Km(반야봉 왕복 2Km포함)

산행 날씨 : 이틀간 운무(雲霧)와 함께, 안개비에 젖기도 하며

산행 동참 : 성호,길원,정산,월파,오리,성원,시탁

 

[산행기]

       (1) 그대 무엇으로 지리산에 드는가

       (2) 종주의 들머리 화엄사(華嚴寺)에서

       (3) 흑심을 품지 않는 이슬의 눈으로

       (4) 여인의 둔부를 스치는 바람으로

       (5) 뼈마저 부스러지는 회한으로

 

       

(6)  청학동이란 곳이 정말 있는지

 

벽소령의 빨간 우체통

지리산아 간밤에 잘 잤느냐? 벽소령을 나서는데, 빨간 우체통이 안개속에서도 선명하게 눈에 띈다. 우체통은 왜 빨간색으로 칠했을까? 이문재 시인은 우체국으로 가는 아름다운 산책”, 편지가 배달되길 기다리는 발효의 시간”, 그 사람과 헤어져 잃어버린 것은 우체국이란 사실을 경고하는 빨간색이라 읊었다.


아름다운 산책은 우체국에 있었습니다
나에게서 그대에게로 편지는/ 사나흘을 혼자서 걸어가곤 했지요

그건 발효의 시간이었댔습니다
가는 편지와 받아볼 편지는/ 우리들 사이에 푸른 강을 흐르게 했고요


그대가 가고 난 뒤/ 나는, 우리가 잃어버린 소중한 것 가운데
하나가 우체국이었음을 알았습니다

우체통을 굳이 빨간색으로 칠한 까닭도/ 그때 알았습니다, 사람들에게

경고를 하기 위한 것이겠지요

   -
이문재, <푸른 곰팡이> 전문

 

 

 

 

덕평봉

날을 바꿔 다시 걷는 지리의 능선, 산색(山色)은 그 푸르름이 눈부시게 짙다. 저 녹음에서 추풍낙엽을 볼 수 있어야 한다.  날쌘 말은 채찍 그림자만 보고도 내달린다고 했던가? 송곳이 살갗에 꽃히고서야 알아채는 것은 둔한 말이다.

 

운서 주굉의 죽창수필에 나오는 이 짜릿한 警句(경구)가 정신을 번쩍 들게 한다. 녹음방초 우거진 여름 산색(山色)에서 절정의 가을 홍엽(紅葉)을 미리 그리지 못하면, 서리 맞은 단풍을 보며 새봄에 돋아날 신록의 윤회를 내다볼 수 없겠지요. 아직도 터득하지 못한 생명의 묘미는 깊기만 하다.

 

 

선비샘

덕평봉을 돌아 선비샘에서 물 한 모금 마시고 다시 지리의 능선에 몸을 맡긴다. 선비샘에 얽힌 설화도 그럴 듯 하다. 짧은 한 생을 낮게 살았으되, 긴 생을 높게 살고 싶었던 노인은 꿈을 이룬 셈인가? 흰 구름 떠가며 부질없는 일이라 한다. 칠선봉도 웃고 있다.

 

 

영신봉

낙남 길은 음양수로 이어지고, 청학동이 바로 삼신봉 아래에 있다. 청학동이란 곳이 정말 그 곳인지? 청학동이 과연 따로 있는 것인지? 청학동은 내 마음 속에 있는 것이 아닌지? 어딜 가든 내 마음이 괴로우면 무간지옥(無間地獄)이요, 내 마음이 편안하면 그 곳이 평온지처(平溫之處), 청학동이 아닌가?

 

청학동이라는 데가 정말 이곳인지 / 도무지 가늠할 수 없다
옛 사람들이 점지해놓은 청학동 저마다 달라도

내가 걸어 찾아가는 곳마다 숨어살 만한 곳 / 그러므로 모두 청학동이다

 
혼자 가는 산길 / 거치적거리는 것 없어 편안하고
외로움은 따라와서 나를 더욱 살갑게 한다 / 내 눈에 뛰어드는 우리나라
 
안개 걷힌 산골짜기 모두 청학동이어서

    - 이성부, <가는 길 모두 청학동이다> 중에서

 

 

 

 

세석평원, 촛대봉

 세석평원의 철쭉꽃 길을 따라, 온몸 불사르는 혁명의 이름으로 오시라- 이원규 시인 

 

역시 세석은 철쭉이 만개하는 늦봄인가 보다. 아니면 평원에 백설이 분분한 마른 겨울이든지…… 산장에 들리지 않고 자연관찰로를 따라 걷는다. 8월의 햇살이 아니더라도 세석은 뜨겁다. 무엇이 세석을 뜨겁게 달구는가?

 

철쭉꽃 붉은 입술의 여흔(餘痕)이 아직도 세석을 뜨겁게 하는가? 미처 아물지 못한 이념의 붉은 깃발이 뿌린 상처 때문인가? 아무도 말이 없다. 스치는 바람도 없고 풀섶의 벌레도 납작 엎드려 있다. 묵묵히 촛대봉을 오르니 먼저 도착한 일행이 반겨준다.

 

 

연하봉(煙霞峯)

연하봉의 벼랑과 고사목을 보려면, 툭하면 자살을 꿈꾸는 이만 반성하러 오시라 - 이원규 시인

 

연하선경(煙霞仙境)은 안개 속에 보일 듯 말듯 노을에 비친 암벽에 피어난 기화요초(琪花瑤草)가 아니겠는가? 옥같이 고운 풀에 핀 구슬같이 아름다운 꽃이라 …… 그러나, 선경(仙境)이 기묘한 암벽과 기화요초로 이루어지는 것일까?

 

아니다. 아침 저녁으로 변화무상한 지리산의 날씨가 한 몫을 해야 한다. 새벽안개와 아침햇살, 안개비 그친 후의 저녁노을 …… 연하봉은 언제나 제 자리에서 우뚝한 데, 오고 가는 바람과 구름이 사람의 마음을 어지럽힐 뿐이니 연하의 선경도 내 마음 속에 있다. 연하봉도 운무에 휩싸여 있다.

 

 

 

 

 

(7)  죽어서도 눕지 못하는 나무들

 

장터목

산이 아니라 이름 그대로 산속의 장터다.

 

 

제석봉 

죽어서도 편히 눕지 못하고 알몸으로 서 있는 나무들의 무덤을 본다. 비록 어제는 도벌꾼의 탐욕이 빚어낸 재앙의 자리였으되, 오늘은 야윈 주검의 몸으로도 스스로를 빛내는 나무들의 성지이다. 저 고사목 편히 잠드는 내일은 극상림(極上林)을 꿈꾸는 신갈이나 서어나무의 세상이지 않을까?.

 

 땅 속의 뿌리 다 뽑혀 드러누운 고사목을 보면 제 몸통만한 정신을 키우면서 고독을 견딘 만큼의 몸피로 울고 있었다는 걸 안다. 이 나무에는 혼이 깃들어 있다. 늙어 죽고 병들어 죽은 고사목은 살아 있는 경전이다.”  - 강희산 시인

 

이 생의 한 목숨 다했어도 옹골차게 버티고 선 고사목 앞에서, 이것이 자연의 섭리일까, 또 다른 모습으로 환생한 나무의 윤회일까. 가던 길 멈추고 고개 돌려 물어 보지만 지리는 미동도 않고 여여(如如) 하니, 오로지 산이 아우르는 품에서 미루어 짐작하고 혼자서 미소지을 뿐이다.

 

재석봉에 억새가 무성히 자라다가 松花(송화)가루 날려와 뿌리를 깊게 내리면, 억새는 소나무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고 떠날 것이다. 다시 소나무 그늘에 신갈나무같은 음지수가 자리하고, 먼 훗날 그 숲이 극상림(極上林)을 이루는 숲의 윤회를 그리며 통천문으로 간다.

 

내 그리움 야윌 대로 야위어서 / 뼈로 남은 나무가

밤마다 조금씩 자라고 있음을 / 나는 보았다

밤마다 조금씩 손짓하는 소리를 / 나는 들었다

 

한 오십 년 또는 오백 년 / 노래로 살이 쪄 잘 살다가

어느 날 하루아침 / 불벼락 맞았는지

저절로 키가 커 무너지고 말았는지

먼 데 산들 데불고 흥청망청 / 저를 다 써버리고 말았는지

앙상하구나

- 이성부, <고사목중에서

 

 

 

 

 

 

- (산행기 계속)